영어 관용구(idiom) 중에는 뜻도 재밌고, 유래까지 흥미로운 표현들이 정말 많습니다. 특히, 오늘 소개하는 표현들은 실제 사용 빈도도 높은 표현이라, 외워 두면 회화·리스닝에서 바로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 간단한 뜻
- 알려진 유래(사연)
- 실제 예문
까지 한 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1. break the ice
어색한 분위기를 깨다, 분위기를 풀다
1) 의미
처음 만났을 때나 회의, 모임에서 어색한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2) 유래
옛날에는 배가 얼음 낀 강이나 바다를 지나갈 때, 작은 배가 먼저 나가서 얼음을 깨며 길을 내 주었다고 합니다. 이 이미지에서 → 사람들 사이의 얼음 같은 어색함을 깨는 행동을 break the ice라고 비유하게 된 거죠.
3) 예문
- I told a joke to break the ice at the meeting. → 회의에서 분위기를 좀 풀려고 농담을 하나 했어.
- A fun activity can break the ice on the first day of class. → 첫 수업 날에는 재미있는 활동이 어색함을 깨 줄 수 있다.
2. spill the beans
비밀을 누설하다, 실토하다
1) 의미
몰래 해야 할 일, 서프라이즈, 비밀 계획 등을 툭 터놓고 말해 버리는 것을 말합니다.
2) 유래(설)
고대 그리스에서는 투표할 때 콩(bean) 으로 찬반을 표시했는데, 항아리가 엎어져 콩이 쏟아지면 투표 결과가 조기 공개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해요. 그래서 spilling the beans → 비밀이 새어 나가다 라는 의미가 된 것으로 많이 설명됩니다.
3) 예문
- Who spilled the beans about the surprise party? → 깜짝 파티 얘기 누가 새나가게 한 거야?
- Don’t spill the beans! It’s a secret. → 비밀이야, 입 밖에 내지 마.
3. kick the bucket
죽다 (농담·구어체, 비교적 가벼운 뉘앙스)
1) 의미
사망을 뜻하지만, 격식 있는 표현이 아니라 농담이나 가벼운 톤에서 쓰입니다. (공식 문서나 장례식에서 쓸 표현은 절대 아님!)
2) 유래(설)
한 설에 따르면, 예전에 돼지를 도살할 때 돼지를 매달아 놓고 아래에 양동이(bucket) 를 두었는데, 죽기 직전에 발버둥치며 양동이를 걷어찬다(kick) 는 장면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설에서는 bucket이 옛 영어에서 ‘빔(지지대)’을 의미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공통점은 어쨌든 죽음과 관련된 장면이라는 것.
3) 예문
- The old man finally kicked the bucket at 98. → 그 노인은 98세에 결국 세상을 떠났다.
- I’m not planning to kick the bucket anytime soon. → 나 당분간 죽을 생각 없거든(농담).
4. bite the bullet
하기 싫지만 이를 악물고 해내다, 괴로운 일을 감수하다
1) 의미
해야 하는 줄 알지만 미루고 싶은 일, 고통스러운 일을 “아, 그냥 참자…” 하고 마음 단단히 먹고 해버릴 때 쓰는 표현입니다.
2) 유래
마취 기술이 없던 시절, 전쟁터에서 병사의 수술을 할 때 극심한 통증을 참게 하려고 총알(bullet)을 물게 했다는 데서 나온 표현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이를 악물고 해버리다” 라는 뉘앙스로 쓰이죠.
3) 예문
- I didn’t want to apologize, but I bit the bullet and did it. → 사과하기 싫었지만, 그냥 이를 악물고 했다.
- Let’s bite the bullet and start studying for the exam. → 그냥 마음 단단히 먹고 시험 공부 시작하자.
5. let the cat out of the bag
비밀을 누설하다, 무심코 말해 버리다
1) 의미
원래 숨겨야 했던 정보를 실수로 폭로하거나, 실언을 해서 비밀이 새는 상황에 쓰입니다.
2) 유래(설)
예전 시장에서는 자루(bag)에 돼지 새끼를 넣어 팔았는데, 어떤 상인이 속여서 돼지 대신 고양이(cat) 를 넣어 파는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자루를 열었을 때 고양이가 튀어나오면 사기 행위가 그대로 들통나겠죠. 여기서 자루에서 고양이가 나온다 → 숨겨진 비밀이 드러난다 라는 의미로 굳어졌다고 전해집니다.
3) 예문
- He let the cat out of the bag about their wedding plans. → 그가 둘의 결혼 계획을 실수로 발설해 버렸다.
- Don’t let the cat out of the bag before Friday. → 금요일 전까지는 절대 비밀 새지 않게 해.
6. once in a blue moon
매우 드물게, 거의 일어나지 않는
1) 의미
“가뭄에 콩 나듯”이라는 우리말과 비슷하게, 엄청 드물게 일어나는 일을 말합니다.
2) 유래
blue moon은 실제로 파란 달이 아니라, 한 달에 두 번 보름달이 뜨는 희귀한 천문 현상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래서 once in a blue moon → 파란 달이 한 번 뜰 정도로 드물게 라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죠.
3) 예문
- I only eat fast food once in a blue moon. → 나는 패스트푸드는 정말 가끔만 먹는다.
- He visits his hometown once in a blue moon. → 그는 고향을 거의 안 가고 아주 가끔만 간다.
7. the elephant in the room
모두 알고 있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큰 문제
1) 의미
회의나 대화에서 모두가 인식하고 있지만, 민감해서 입 밖에 꺼내기 껄끄러운 주제를 가리킵니다.
2) 유래
작은 방 안에 코끼리(elephant) 가 있다면 누가 봐도 엄청 눈에 띄겠죠. 하지만 아무도 그 이야기를 하지 않는 상상을 해 보면, “모두가 알지만 의도적으로 외면하는 문제”라는 의미가 됩니다. 그래서 회사 예산, 구조조정, 관계 문제 같은 핵심 이슈를 말할 때 자주 쓰입니다.
3) 예문
- We need to talk about the elephant in the room: our budget problem. → 우리 모두가 알고 있지만 말 안 하고 있던 것, 바로 예산 문제를 이제 얘기해야 해.
- The management ignored the elephant in the room for years. → 경영진은 수년 동안 그 큰 문제를 모른 척했다.
마무리: 유래를 알면, 기억도 더 오래 간다 ✨
단순히 뜻만 외우는 idiom 공부는 금방 잊어버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오늘처럼 재미있는 사연과 이미지를 함께 기억해 두면, 회화에서 들렸을 때 더 잘 알아듣고 내가 말할 때도 자연스럽게 떠올리고 스토리까지 함께 떠올라 오래 기억할 수 있습니다.
'재밌는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영어문법 - 분사(分詞, participle)라는 이름의 비밀? (0) | 2025.11.25 |
|---|---|
| 🌌 phenomenon — ‘현상’에서 ‘경이로운 존재’로 변한 단어의 여정 (0) | 2025.11.09 |
| 🐐 get your goat — 염소와 짜증의 관계? (0) | 2025.11.08 |
| 💬 assert, insist, claim, affirm — ‘주장하다’의 뉘앙스를 구분하는 감정의 언어 (1) | 2025.11.07 |
| 🚶♂️ pedestrian — 왜 ‘보행자’가 ‘진부한’이라는 뜻이 되었을까? (1) | 20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