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 잡학 상식

🌌 태양계 행성들의 이름과 그 유래, 그리고 누가 붙였을까?

by 잡학&단어 2025. 9. 18.
반응형

우리가 밤하늘에서 바라보는 별빛 중 가장 특별한 존재는 바로 태양계의 행성들입니다. 🌍🪐

행성의 이름은 영어와 한글에서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인류의 문화와 역사 속 천문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태양 (Sun / 태양)

 

  • 영어 이름: Sun은 고대 영어 sunne에서 유래했으며, 게르만어 계통으로 “밝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한글 이름: 태양(太陽)은 ‘큰 볕’이라는 뜻으로, 한자 太(클 태)와 陽(볕 양)을 합쳐 만든 말입니다.
  • 이름을 붙인 배경: 동서양 모두 생명의 근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별이기에, 고대부터 스스로의 언어로 불려왔습니다.

 


 

🌑 수성 (Mercury / 水星)

 

  • 영어 이름: 로마 신화의 ‘메르쿠리우스(Mercury, 그리스 신화의 헤르메스)’에서 유래. 신들의 전령으로 가장 빠른 발걸음을 가졌다는 점이 태양에 가장 가까워 빠르게 도는 수성과 닮았습니다.
  • 한글 이름: 水星(물 수, 별 성) → 하늘에서 움직임이 빠르고, 물처럼 변덕스럽다는 의미.
  • 이름을 붙인 사람: 조선 시대 천문학자들은 중국 천문학 전통을 이어받아 한자식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 금성 (Venus / 金星)

 

  • 영어 이름: 로마 신화의 사랑과 미의 여신 ‘비너스(Venus)’에서 유래.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이기에 아름다움과 연결되었습니다.
  • 한글 이름: 金星(쇠 금, 별 성) → 하늘에서 금빛처럼 반짝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 특징: 새벽과 저녁에 보이는 ‘샛별’ ⭐로도 불렸습니다.

 


 

🌍 지구 (Earth / 地球)

 

  • 영어 이름: Earth는 고대 영어 ertha, 게르만어 erde에서 유래, ‘흙’ 또는 ‘땅’을 의미. 신의 이름이 아닌 유일한 행성입니다.
  • 한글 이름: 地球(땅 지, 공 구) → ‘땅으로 된 구체’라는 뜻.
  • 특징: 한국어 이름은 근대 천문학 용어 정리 과정에서 확립되었습니다.

 


 

🌕 화성 (Mars / 火星)

 

  • 영어 이름: 로마 신화의 전쟁의 신 ‘마르스(Mars)’에서 유래. 붉은 색을 띠어 피와 전쟁을 상징한다고 여겨졌습니다.
  • 한글 이름: 火星(불 화, 별 성) → 붉은빛을 띠는 별이라 ‘불의 별’로 불림.
  • 특징: 고대 중국과 한국에서도 ‘붉은 별’이라 하여 전쟁과 흉조를 의미했습니다.

 


 

🪐 목성 (Jupiter / 木星)

 

  • 영어 이름: 로마 신화의 신들의 왕 ‘주피터(Jupiter, 그리스의 제우스)’에서 유래. 가장 크고 위엄 있는 행성이기에 붙여졌습니다.
  • 한글 이름: 木星(나무 목, 별 성) → 오행(五行)의 개념에서 ‘목(木)’에 해당하는 별.
  • 특징: 동양 전통에서는 나무 기운과 성장, 봄을 상징했습니다.

 


 

🪐 토성 (Saturn / 土星)

 

  • 영어 이름: 로마 신화의 농업의 신 ‘사투르누스(Saturn)’에서 유래. 목성의 아버지이자 고대의 신으로 여겨졌습니다.
  • 한글 이름: 土星(흙 토, 별 성) → 오행에서 ‘흙’에 해당.
  • 특징: 둥근 고리(🌐)로 잘 알려져 있으며, 동양에서는 토(土)의 기운으로 중앙을 상징.

 


 

🌀 천왕성 (Uranus / 天王星)

 

  • 영어 이름: 그리스 신화의 하늘의 신 ‘우라노스(Uranus)’에서 유래. 목성과 토성이 신화 속 신들의 이름에서 왔기에, 전통을 이어 붙여졌습니다.
  • 한글 이름: 天王星(하늘 천, 임금 왕, 별 성) → ‘하늘의 왕 별’. 일본 메이지 시대 서양 천문학을 번역하면서 만들어진 이름이 한국에도 전해졌습니다.
  • 특징: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하늘을 지배하는 별’로 여겨졌습니다.

 


 

🌊 해왕성 (Neptune / 海王星)

 

  • 영어 이름: 로마 신화의 바다의 신 ‘넵투누스(Neptune)’에서 유래. 깊고 푸른 빛을 띠는 행성의 색깔이 바다와 닮았습니다.
  • 한글 이름: 海王星(바다 해, 임금 왕, 별 성) → ‘바다의 왕 별’. 일본에서 서양 천문학 번역 시 만든 이름.
  • 특징: 푸른 바다 같은 색을 지닌 행성 🌊.

 


 

❄️ 명왕성 (Pluto / 冥王星, 현재는 왜행성)

 

  • 영어 이름: 로마 신화의 저승의 신 ‘플루토(Pluto, 그리스의 하데스)’에서 유래. 태양계 끝자락의 차갑고 어두운 행성이기에 어둠의 신 이름이 붙었습니다.
  • 한글 이름: 冥王星(어두울 명, 임금 왕, 별 성) → ‘어둠의 왕 별’. 일본 천문학에서 번역된 이름을 사용.
  • 특징: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행성으로 기억됩니다.

 


 

✨ 마무리

 

정리해보면,

 

  • 영어 이름: 주로 로마 신화(그리스 신화에서 차용)의 신들 이름에서 비롯됨.
  • 한글 이름: 중국의 오행(五行) 사상과 일본의 서양 천문학 번역을 거쳐 정착.

 

행성의 이름은 단순한 별칭이 아니라, 인류가 하늘을 이해하려 했던 역사와 문화의 흔적입니다. 🌌

밤하늘을 바라볼 때, 각 행성의 이름 뒤에 숨은 이야기를 함께 떠올려 보시면 더욱 흥미로울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