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밌는 Tech 상식27 💻 Big Endian과 Little Endian의 차이와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기 컴퓨터 공학이나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다 보면 꼭 한 번쯤 마주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엔디언(Endian)**이라는 용어입니다. 엔디언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송할 때 바이트 순서를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규칙을 말합니다. 이 개념은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 시스템 설계, 네트워크 통신, 파일 포맷 등 다양한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발자라면 꼭 이해해야 할 주제입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두 가지 방식인 Big Endian과 Little Endian을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엔디언이란 무엇인가? 엔디언은 숫자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가장 큰 단위(최상위 바이트)**를 앞에 둘 것인지, 아니면 **가장 작은 단위(최하위 바이트)**를 앞에 둘 것인지 정하는 규칙입니.. 2025. 9. 5. ₿ 코인 하드포크 vs 소프트포크: 비트코인 사례로 알아보는 안전성 🔐 안녕하세요! 오늘은 암호화폐, 특히 비트코인의 하드포크(Hard Fork) 와 소프트포크(Soft Fork) 의 차이점과, 비트코인이 지금까지 어떻게 안전하게 발전해왔는지 그 비결을 소프트포크 3가지 사례와 함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뭐가 다를까? 🤔 하드포크 (Hard Fork)기존 블록체인 프로토콜과 완전히 호환되지 않는 규칙 변경업데이트된 규칙을 적용하지 않은 노드는 네트워크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체인이 만들어짐즉, 체인이 두 갈래로 나뉘면서 기존 코인과 새로운 코인이 둘 다 존재할 수 있음대표적인 예: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BCH)의 분리 소프트포크 (Soft Fork)기존 규칙을 부분적으로 변경 또는 강화하는 방식이전 버전 노드도 새로운 규칙을 어느 정도 인정해서.. 2025. 8. 13. 📚 Cardinality의 어원과 의미,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1. Cardinality의 어원 Cardinality라는 단어는 **라틴어 ‘cardinalis’**에서 유래합니다. cardinalis는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이라는 뜻을 가지며, 이는 다시 cardo(경첩, 중심축)에서 파생되었습니다.영어에서 cardinal은 ‘기본적인, 주요한’이라는 뜻을 가지며, 수학적 의미로는 cardinal number(기수), 즉 사물의 ‘갯수’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ity는 ‘~성(性)’을 나타내는 접미사이므로,👉 Cardinality = “기본 수량성”, 즉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이 됩니다. 2. Cardinality의 기본 의미 일반적으로 Cardinality는 **집합이나 데이터의 원소 개수(크기)**를 의미합니다. 수학에서는 한 집합에 들.. 2025. 8. 9. 🔐 비트코인 리커버리 코드란? 암호화폐 지갑 복구의 핵심 개념 완전 정리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를 사용하면서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바로 지갑을 분실했을 때 복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암호화폐는 탈중앙화된 기술이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잊거나 지갑 파일을 잃어버리면 아무도 대신 찾아줄 수 없습니다.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비트코인 리커버리 코드(Recovery Cod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커버리 코드가 정확히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왜 중요한지, 안전하게 보관하는 법까지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겠습니다. 1. 🧩 리커버리 코드란 무엇인가? 🔹 정의 비트코인 리커버리 코드는 암호화폐 지갑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핵심 정보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복구 문구(Recovery Phrase)니모닉 코드(Mnemoni.. 2025. 8. 2. 💰 유명 암호화폐별 채굴 방식 총정리: PoW, PoS, PoC 차이까지 완벽 정리! 🔍 채굴(Mining)이란 무엇인가요? 암호화폐에서 채굴(Mining)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를 검증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 참여한 사람은 일정한 **보상(코인)**을 받게 되는데, 이 과정을 ‘채굴’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모든 암호화폐가 같은 방식으로 채굴되지 않습니다. 블록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작동 방식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죠. 이 글에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카르다노, 파일코인 등 유명한 암호화폐들이 어떤 채굴 방식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그 방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비트코인(Bitcoin): 작업증명(PoW) 방식 ✅ 채굴 방식: Proof of Work (PoW)비트코인은 가장 오래된 블록체인 암호화폐로, 작업증.. 2025. 7. 23. 🧩 채굴 보상이 사라진 이후, 비트코인은 어떻게 유지될까? 2140년 이후의 비트코인 생태계 시나리오 비트코인을 조금이라도 공부해본 분이라면 “반감기(Halving)“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비트코인은 약 4년마다 채굴 보상이 반으로 줄어들고, 결국엔 2140년경 모든 비트코인이 채굴을 마친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죠. 그렇다면, 중요한 질문 하나가 떠오릅니다. “채굴 보상이 완전히 사라지면, 비트코인 생태계는 어떻게 유지될까?” 오늘은 이 ‘채굴 이후의 비트코인 세상’, 즉 보상 없는 비트코인의 미래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비트코인 생태계는 누가 유지할까? 비트코인의 네트워크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지만, **블록 생성(채굴)**은 많은 전기와 자원이 필요한 작업입니다.채굴자들은 이 엄청난 컴퓨팅 자원을 투자하는 대가로, **블록 보상(= 새로 발행된 .. 2025. 7. 19.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