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 영어

✨ 영어 속 라틴어 약자들의 어원과 용법 정리

by 잡학&단어 2025. 9. 4.
반응형

영어를 배우다 보면 종종 본문이나 각주, 심지어는 일상적인 이메일에서도 알 수 없는 알파벳 약자들을 보게 됩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그 약자들 대부분이 영어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라틴어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입니다. 📜

 

라틴어는 고대 로마 제국의 공용어였고, 중세 유럽 학문과 법률, 종교에서 사용되면서 영어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 결과 오늘날에도 많은 **라틴어 약어(Latin abbreviations)**가 영어 문장 속에 남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라틴어 약어들의 어원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e.g. (exempli gratia) 👉 “예를 들어”

 

  • 어원: exempli (예시의) + gratia (은혜, 위해) → “예시를 위하여”라는 뜻
  • 용법: 설명 중에 “예를 들면”의 의미로 사용
    • 예: I like citrus fruits, e.g., oranges and lemons.
  • ✅ 주의: *e.g.*는 전체를 대표하는 예시가 아니라 “그중 일부”를 제시할 때 씁니다.

 


 

2.  i.e. (id est) 👉 “즉, 다시 말해”

 

  • 어원: id (그것은) + est (이다) → “즉 그것은 …이다”
  • 용법: 앞의 내용을 다시 정의하거나 구체적으로 설명할 때 사용
    • 예: He works in IT, i.e., information technology.
  • ✅ 주의: *i.e.*는 “예시”가 아니라 “다시 풀어 설명”하는 기능입니다.

 


 

3.  etc. (et cetera) 👉 “기타 등등”

 

  • 어원: et (그리고) + cetera (그 밖의 것들)
  • 용법: 나열할 때, 아직 더 있지만 생략할 때 활용
    • 예: Bring some fruits—apples, bananas, etc.
  • ✅ 문장 끝에 올 때는 보통 마침표와 함께 씁니다: etc.

 


 

4.  vs. (versus) 👉 “~ 대, ~와 대비하여”

 

  • 어원: versus (향하다, 맞서다)
  • 용법:
    1. 스포츠 경기: Korea vs. Japan
    2. 법률 문서: Brown vs. Board of Education
    3. 일상적인 대비 표현: Efficiency vs. Accuracy

 


 

5.  P.S. (post scriptum) 👉 “추신”

 

  • 어원: post (뒤에) + scriptum (쓰인 것) → “뒤에 쓰여진 글”
  • 용법: 편지나 이메일 끝에, 빠뜨린 말을 덧붙일 때
    • 예: P.S. Don’t forget to bring your ID!

 


 

6.  N.B. (nota bene) 👉 “주의하라”

 

  • 어원: nota (표시하다, 기록하다) + bene (잘) → “잘 표시해 두라”
  • 용법: 학술 글이나 문서에서 독자가 반드시 주의해야 할 부분을 강조할 때
    • 예: N.B. The deadline has been changed to Friday.

 


 

7.  cf. (confer) 👉 “비교하라”

 

  • 어원: confer (함께 가져오다, 비교하다)
  • 용법: 주로 각주, 학술 논문에서 참고 문헌 비교를 지시할 때
    • 예: For more details, cf. Smith (2018).

 


 

8.  Q.E.D. (quod erat demonstrandum) 👉 “증명 완료”

 

  • 어원: quod (그것) + erat (이었다) + demonstrandum (증명되어야 할 것)
  • 용법: 수학이나 논리학에서 증명 끝에 “보이려 했던 바를 증명했다”라는 의미로 씀
    • 예: Thus, the theorem holds. Q.E.D.

 


 

9.  A.D. (anno domini) 👉 “서기”

 

  • 어원: anno (해) + domini (주님의) → “주님의 해에”
  • 용법: 기독교 문화권에서 연도를 표시할 때
    • 예: A.D. 2025 → 오늘날에는 보통 “CE (Common Era)”를 병행 사용

 


 

10.  etc. 외에 자주 보이는 약자들

 

  • viz. (videlicet) → “즉, namely”
  • et al. (et alii) → “그리고 다른 사람들” (학술 참고문헌에서 많이 사용)
  • ibid. (ibidem) → “같은 곳에서” (각주 인용 반복 시)

 


 

📌 라틴어 약자 사용 시 유의할 점

 

  1. 격식의 차이: 공식 문서나 학술 논문에서 더 많이 쓰이며, 일상 영어에서는 간단한 *etc.*나 e.g. 정도만 자주 사용됩니다.
  2. 문장 부호: 약자 뒤에는 보통 마침표를 찍습니다 (i.e., e.g., etc.).
  3. 혼동 주의: *e.g.*와 *i.e.*는 가장 많이 헷갈리므로 의미 차이를 꼭 구분해야 합니다.

 


 

✨ 맺음말

 

라틴어는 이미 사어(死語)로 불리지만, 그 흔적은 여전히 영어 문장 속 살아있는 지식의 흔적으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가 무심코 쓰는 etc., i.e., e.g. 같은 단어들도 사실은 수천 년 전 고대 로마인의 언어 습관이 오늘까지 이어져 내려온 결과입니다.

 

영어 학습을 할 때 이런 라틴어 약자의 뿌리를 이해하면 단순한 암기에서 벗어나 언어의 역사와 맥락까지 통찰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이메일이나 논문, 기사에서 이런 약자를 볼 때마다 “아, 이게 라틴어에서 온 거구나” 하고 떠올린다면 영어 공부가 훨씬 더 흥미로워질 것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