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 잡학

🎲 로그라이크 모험이란?

by 잡학&단어 2025. 11. 17.
반응형

요즘 게임 소개 글을 보면 “로그라이크 모험 시스템”, “로그라이크 요소 탑재” 같은 표현을 자주 보게 됩니다. 하지만 막상 “로그라이크가 정확히 뭐지?”라고 물으면 애매하게 느껴지기도 하죠.

 

이 글에서는

  • 로그라이크 모험이 어떤 장르인지
  • ‘roguelike’라는 영어 용어가 어떻게 탄생했는지

차근차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로그라이크 모험의 기본 개념

 

아주 짧게 정의하면, 로그라이크 모험은

“매 판마다 맵과 상황이 달라지고, 죽으면 처음부터 다시 도전하는 던전 모험 게임”

 

입니다.

 

조금만 더 풀어서 말하면, 전통적인 로그라이크 게임은 보통 다음 특징을 갖습니다.

  • 던전을 탐험하는 던전 크롤(dungeon crawl) 구조
  • 맵과 아이템, 몬스터가 매번 달라지는 랜덤 생성(절차적 생성)
  • 한 행동씩 주고받는 턴제 진행
  • 캐릭터가 죽으면 끝나는 퍼마데스(permadeath, 영구 사망)

 

요즘에는 여기에 액션, 카드 게임, 로그라이트(roguelite) 요소까지 섞이면서 조금 더 넓은 의미로

“죽으면 리셋되고, 매번 다른 모험이 펼쳐지는 게임 구조”

 

전체를 통틀어 로그라이크 모험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 로그라이크의 핵심 특징

2-1. 랜덤하게 생성되는 던전

로그라이크 장르의 상징은 랜덤 던전입니다.

  • 맵 구조, 몬스터 위치, 아이템 등장 위치가
  • 플레이할 때마다 전부 달라집니다.
  • 같은 게임을 여러 번 플레이해도“항상 새 판 같은 느낌”을 줍니다.
  • 매번 다른 상황과 조합이 나오기 때문에

초창기 컴퓨터는 저장 공간이 넉넉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스테이지를 담는 대신, 게임이 실행될 때마다 그 자리에서 던전을 생성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기술이 오히려 장르의 개성이 되어 “높은 반복 플레이성”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2-2. 퍼마데스(Permadeath, 영구 사망)

로그라이크 모험에서 죽음은 가볍지 않습니다.

  • 보통 중간 세이브로 되돌릴 수 없고 한 번 죽으면 캐릭터와 진행 상황이 완전히 초기화됩니다.

대신, 로그라이크는 한 번의 플레이(한 판, 한 런)를 하나의 완결된 모험으로 봅니다.

  • 여러 번 죽어가면서 몬스터 패턴, 아이템 활용법, 위험한 상황 등을 배우고
  • 결국 성장하는 것은 캐릭터가 아니라 플레이어의 경험과 실력입니다.

이 구조 덕분에, 어렵게 끝까지 완주한 한 판은 매우 큰 성취감을 줍니다.

 


 

2-3. 턴제 + 격자 기반 진행(클래식 기준)

 

전통적인 로그라이크 게임은

  • 턴제 진행
  • 격자(타일) 기반 맵

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내가 한 칸 이동하거나 한 번 공격하면 한 턴이 지나는 방식
  • 내 턴이 끝나면 몬스터들이 한 번씩 행동
  • 시간은 실시간이 아니라 행동 단위로 흐릅니다.

요즘에는 실시간 액션 로그라이크도 많지만, 옛 기준에서 보면 이런 턴제 구조를 갖춘 게임들을 “정통 로그라이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3. ‘Roguelike’라는 말의 어원

3-1. 1980년 게임 「Rogue」에서 시작된 이름

 

‘로그라이크(roguelike)’라는 단어는 1980년 등장한 고전 게임 「Rogue」에서 시작되었습니다.

 

Rogue는

  • 유닉스(UNIX) 환경에서 돌아가던 문자(ASCII) 기반 던전 게임
  • 매 판마다 랜덤하게 생성되는 던전
  • 캐릭터가 죽으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
  • 목표는 “Yendor의 부적(Amulet of Yendor)”을 찾고 돌아오는 것

 

이 게임이

  • 던전 크롤
  • 랜덤 생성 던전
  • 퍼마데스 구조

를 확실하게 보여준 원조격 게임이었기 때문에 이후 비슷한 스타일을 가진 게임들을

 

“Rogue 같은 게임들” → rogue-like

 

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즉,

roguelike = Rogue + like(처럼) → “Rogue와 비슷한 게임”

 

이라는 아주 직관적인 합성어입니다.

 


 

3-2.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장르 이름으로 굳어지다

 

‘roguelike’가 장르 이름처럼 굳어진 것은 1990년대 초반, 인터넷 포럼의 전신인 유즈넷(Usenet)에서입니다. 당시에는 Rogue, Hack, Moria, Angband 같은 비슷한 계열의 게임들이 이미 여럿 있었는데,

  • 게임마다 따로 이야기하기보다
  • 한데 묶어서 이야기할 수 있는 이름이 필요했고
  • 결국 “Rogue와 비슷한 게임들”이라는 의미의
  • roguelike라는 표현이 채택됩니다.

이 과정에서 rec.games.roguelike. 라는 이름의 뉴스그룹이 만들어졌고, 여기서부터 “roguelike = 하나의 게임 장르”라는 인식이 본격적으로 퍼져 나가게 됩니다.

 


 

4. 로그라이크 vs 로그라이트(roguelite)

 

시간이 지나면서 로그라이크 요소를 부분적으로만 가져온 게임들도 많아졌습니다.

 

예를 들어,

  • 죽으면 다시 시작하지만 실시간 액션에 가깝거나
  • 랜덤맵 구조지만 영구 업그레이드, 메타 성장 요소가 큰 게임 등

이런 게임까지 전부 “로그라이크”라고 부르다 보니 장르 구분이 너무 넓어졌다는 의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팬들과 개발자들은 나름의 기준을 나누기 시작합니다.

 

 

4-1. 베를린 해석(Berlin Interpretation)

 

2008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Roguelike Development Conference에서는

“무엇이 진정한 로그라이크인가?”

 

라는 주제로 여러 개발자와 팬들이 논의했고, 이를 흔히 “베를린 해석(Berlin Interpretation)”이라고 부릅니다. 이 해석에서 중요한 요소로 꼽힌 것들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 랜덤하게 생성되는 던전
  • 턴제 진행
  • 격자(타일) 기반 맵
  • 퍼마데스(영구 사망)
  • 복잡한 자원 관리, 높은 난이도 등

이 기준은 법이나 규칙이 아니라 “연구·토론용 참고 기준”에 가깝지만, 정통 로그라이크를 구분할 때 자주 언급됩니다.

 

 

4-2. Roguelike와 Roguelite의 구분

 

요즘에는 대략 이렇게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정통 로그라이크 (Roguelike)
    • Rogue, NetHack, ADOM, Dungeon Crawl Stone Soup 등
    • 턴제, 타일 기반, 높은 난이도, 퍼마데스 등
    • 베를린 해석에 비교적 잘 들어맞는 게임들
  • 로그라이트 (Roguelite)
    • Hades, Dead Cells, Slay the Spire처럼“랜덤 생성 + 반복 도전 + 리셋 구조”를 섞은 게임들
    • 액션·카드·슈팅 등 다른 장르에
    • 죽어도 일정 능력이나 업그레이드는 남는 경우가 많음

 

다만 실제로는 스팀 태그나 홍보 문구에서 roguelike, roguelite가 뒤섞여 쓰이는 경우도 많아서, 한국어로는 그냥 “로그라이크 모험 게임” 이라고 통칭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5. 로그라이크 모험이 사랑받는 이유

 

마지막으로, 왜 로그라이크 모험이 계속 사랑받을까요?

 

  1. 매 판 새로운 이야기
    • 랜덤 던전과 아이템 조합 덕분에
    • 플레이어마다 “이번 판 썰”이 생깁니다.
  2. 강렬한 리스크–리워드 구조
    • 한 번 죽으면 끝이기 때문에항상 긴장감 넘칩니다.
    • “이 아이템 먹으려고 한 층 더 내려갈까 말까” 같은 선택이
  3. 플레이어 실력 중심 성장
    • 캐릭터는 계속 죽고, 장비는 사라지지만
    • 패턴을 읽는 눈과 판단력, 자원 관리 능력 등
    • 플레이어 자신의 실력이 성장합니다.
  4. 한 판은 가볍지만, 전체는 깊은 게임
    • 한 번의 플레이는 그렇게 길지 않을 수 있지만
    • “한 판만 더…”를 계속 외치게 만드는
    • 위험한(?)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6. 한 줄로 정리하면

 

로그라이크 모험1980년 고전 게임 「Rogue」에서 출발해, “죽으면 처음부터 다시, 매번 다른 던전과 상황 속에서 도전하는” 랜덤 던전형 모험 게임 장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