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남서쪽 끝, 다도해 한가운데 자리 잡은 섬 진도(珍島) 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섬 가운데 하나입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 충견으로 유명한 진돗개, 그리고 바다가 갈라지는 ‘진도 신비의 바닷길’ 로 많은 분들이 이름은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이 글에서는
- 진도의 위치
- 진도의 역사
- 대한민국 섬 크기 순위
- 제주도와의 크기 비교
를 한 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진도의 위치 – 전라남도 남서쪽, 다도해의 중심 🗺️
- 진도는 전라남도 진도군에 속한 섬으로, 남해와 서해가 만나는 서남해 해역에 위치합니다.
- 진도 본섬과 주변 여러 작은 섬들이 모여 진도군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심이 바로 진도 본섬입니다.
- 진도와 전라남도 해남군 사이에는 물살이 거센 명량 해협이 흐르고, 이 해협 위를 진도대교·제2진도대교가 연결해 육지와 오갈 수 있습니다.
지도로 보면 목포에서 남쪽, 완도·해남과 함께 전남 남해안 섬 벨트를 이루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도 가까운 위치에 있습니다.
2. 진도의 역사 – 삼국시대부터 명량해전까지 📜
1) 삼국시대·통일신라 시기
- 이 일대는 오래전부터 해상 교통과 교역의 요충지였습니다.
- 진도는 역사 속에서 옥주(玉州), 해양도(海陽島)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2) 고려시대 – 몽골 침입의 격전지
- 13세기 몽골 침입 당시, 남해안의 여러 섬들이 항쟁과 피난의 거점이 되었고,
- 진도 또한 몽골과의 전투와 침입을 겪은 섬으로 기록됩니다.
3) 조선시대 – 이순신과 명량해전
- 조선 중기에는 이순신 장군이 진도군수로 부임했던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 임진왜란 때는 진도와 해남 사이의 좁은 해협인 명량 해협(울돌목) 이 전략적 요지로 떠올랐습니다.
- 1597년 이곳에서 벌어진 명량해전은 “12척으로 왜선 수백 척을 물리친 전투”로 잘 알려져 있죠.
4) 현대의 진도 – 문화와 축제의 섬
- 오늘날 진도는 진도아리랑, 판소리, 진돗개 등 전통문화의 고향으로 유명합니다.
- 특히 진돗개는 충성심과 사냥 능력이 뛰어난 토종견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3. 진도의 면적과 대한민국 섬 크기 순위 🏝️
그렇다면 진도는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큰 섬일까요?
주요 섬들의 대략적인 면적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순위 | 섬 이름 | 면적(대략) |
| 1 | 제주도 | 약 1,833㎢ |
| 2 | 거제도 | 약 379㎢ |
| 3 | 진도 | 약 375㎢ |
| 4 | 강화도 | 약 303㎢ |
| 5 | 남해도 | 약 301㎢ |
✅ 진도는 대한민국에서 세 번째로 큰 섬입니다.
면적으로만 보면, 진도는 웬만한 시·군 전체와 견줄 수 있을 정도의 큰 섬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4. 제주도와 진도, 크기 비교 📏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이 바로 “제주도랑 비교하면 어느 정도냐?” 입니다.
- 제주도 면적: 약 1,833㎢
- 진도 면적: 약 375㎢
이를 비율로 바꾸면
- 제주도 ≈ 진도의 약 4.9배
- 진도는 제주도 크기의 약 20% 정도, 즉 5분의 1 수준입니다.
상상해 보자면,
제주도 위에 진도를 퍼즐처럼 올려 놓는다면 진도 5개를 붙여야 제주도 하나와 비슷한 면적이 되는 셈입니다.
그래도 우리나라 본토 기준으로는 꽤 큰 섬이라, 진도를 제대로 한 바퀴 돌아보려면
차량 기준 1일~2일 코스 정도는 잡아야 여유 있게 둘러볼 수 있습니다.
5. 진도를 특별하게 만드는 것들 🐾🌊
1) 바다가 갈라지는 ‘진도 신비의 바닷길’
- 진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바다 갈라짐 현상입니다.
- 매년 특정 시기, 조수 간만의 차가 극대화되면서
- 진도 본섬과 모도(모도섬) 사이에 약 2.8~2.9km 길이의 모래·자갈길이 드러납니다.
- 이 기간에 맞춰 열리는 것이 바로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 로, 국내외 관광객이 대거 찾아오는 진도의 대표 행사입니다.
이 현상에는 전설도 함께 전해집니다.
호랑이를 피해 도망간 가족과 뒤에 남겨진 여인 ‘뽕 할머니’ 의 간절한 기도에 응답해 바다가 갈라졌다는 이야기로,
오늘날에는 과학적으로 설명되는 조석(조수) 현상과 지역 설화가 잘 어우러진 관광 자원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2) 진돗개 – 섬이 길러낸 충견
- 진돗개는 진도 일대에서 오랫동안 사람과 함께 살아온 토종견입니다.
- 뛰어난 방향 감각, 집요한 추적 능력, 강한 주인 충성심으로 유명하며,
- 군견·수색견 등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 “집을 끝까지 지키는 개”라는 이미지 덕분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반려견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진도라는 섬의 자연환경과 사람들의 삶이 오랜 세월 쌓여 만들어 낸 결과물이기 때문에,
섬의 정체성과 문화를 이야기할 때 진돗개와 진도아리랑은 빼놓을 수 없습니다.
마무리 – 숫자로 다시 보는 진도 정리 ✨
- 위치: 전라남도 남서쪽, 해남과 명량 해협을 사이에 둔 섬
- 역사: 해상 교통 요지, 몽골 침입·임진왜란 등 격동의 현장, 이순신 장군과 명량해전과 깊은 관련
- 면적: 약 375㎢, 대한민국 3번째로 큰 섬
- 제주도와의 비교:
- 제주도 ≈ 1,833㎢
- 제주는 진도의 약 4.9배
- 진도는 제주도의 약 1/5 크기
- 특징: 진도 신비의 바닷길, 진돗개, 진도아리랑, 남도 전통문화의 중심지
'재밌는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강화도, 위치 역사 제주도와 크기 비교 (0) | 2025.11.14 |
|---|---|
| 🌏 대만의 위치, 크기 & 역사 — 제주도와 크기 비교로 보는 섬나라 이야기 (0) | 2025.11.10 |
| 단양의 위치와 크기 & 인구 역사, 그리고 오늘의 단양 🌄 (0) | 2025.11.09 |
| 🏙️ 서울 광장시장 — 100년을 이어온 전통의 중심 (1) | 2025.11.08 |
| 🎸 기타 코드 이름의 비밀 — 코드 이름 작성 원리 완벽 정리! (1) | 2025.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