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밌는 역사18

📜 서사시의 원형, 『일리아드』 와 『오디세이』 – 호메로스와 그 불멸의 가치 노래하소서, 여신이여, 펠레우스의 아들 아킬레우스의 노여움을… 『일리아드』의 첫 구절 📚 고대 그리스 문학은 인류 문명의 초석 중 하나로, 그 중심에는 서사시 『일리아드』와 『오디세이』가 있습니다. 이 두 작품은 고대 그리스 문학의 정수이자 서양 문학의 뿌리이며, 그 저자는 전설적인 인물 **호메로스(Homer)**입니다. 우리말로는 호메루스라고도 부릅니다. 1. 『일리아드』와 『오디세이』는 어떤 책인가요? 『일리아드』 – 전쟁과 인간의 분노『일리아드』는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0일간을 배경으로 한 서사시입니다. 중심 인물은 그리스의 영웅 아킬레우스이며, 그의 분노와 갈등, 전쟁 속 인간의 비극을 그립니다. 흥미롭게도 트로이 목마 장면은 나오지 않지만, 전쟁의 치열함과 인간 본성의 깊이를 극적으로 묘.. 2025. 7. 2.
🧬 인간의 수명을 바꾼 사람들: 파스퇴르와 위대한 과학자들 우리 인류는 불과 100년 전만 해도 평균수명이 40세를 넘기기 힘들었습니다.하지만 현재 세계 평균수명은 70세를 훌쩍 넘고, 선진국에서는 80세 이상이 흔한 시대입니다. 이 놀라운 변화는 의학, 위생, 백신, 항생제 개발 등 과학적 진보 덕분입니다.그 중심에는 평생을 인류의 건강과 생명 연장에 바친 위대한 과학자들이 있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꼭 알아야 할 인물들을 소개합니다. 🦠 루이 파스퇴르 (Louis Pasteur, 1822~1895) “인류의 구원자”라는 별명이 붙은 프랑스의 미생물학자입니다. 병의 원인이 ‘세균’이라는 세균설을 증명식품의 부패를 막는 저온살균법(파스퇴리제이션, Pasteurization) 개발광견병 백신 최초 개발발효의 원리를 밝혀 산업과 식품 위생의 혁신을 이끌음.. 2025. 6. 30.
👑 조선시대 왕들의 이름 시호(諡號), 조(祖)·종(宗)·군(君) 은 무슨 뜻일까? 조선시대(1392 ~ 1910) 519년 간에 27명의 왕이 존재 했습니다.우리가 자주 듣는 태조, 세종, 정조 같은 조선 왕들의 이름들!이 이름들은 그냥 이름이 아니라, 사후에 붙는 특별한 명칭이에요.그 안에는 왕의 업적, 정치 상황, 그리고 후손들의 평가까지 담겨 있다는 사실! 🧐오늘은 조선 왕들의 이름 뒤에 붙는 **‘조(祖)’, ‘종(宗)’, ‘군(君)’**의 의미와그 명칭이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재미있게 알아볼게요! 😄 🪦 시호(諡號)란? 시호는 왕이 죽은 뒤에 붙는 이름이에요.살아생전의 공적이나 인품을 평가해서 지어지는 ‘사후 이름’이죠.보통 두 글자로 구성되는데, 두 번째 글자인**‘조’, ‘종’, ‘군’**이 핵심 포인트예요! 🎯 🐉 ‘조(祖)’는 어떤 왕에게? ‘조(祖)’는 아무.. 2025. 6. 29.
🕌 시아파 vs 수니파: 이슬람의 두 갈래, 무엇이 다를까? 이슬람 세계는 오랜 시간 동안 두 개의 주요 종파로 나뉘어왔습니다. 바로 **수니파(Sunni)**와 **시아파(Shia)**입니다.겉으로는 같은 꾸란(코란)을 믿고, 예언자 무함마드를 따르며 하루 다섯 번 기도하는 신앙 체계를 공유하지만, 그 내부엔 정치적·역사적·신학적 깊은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시아파와 수니파가 어떻게 갈라지게 되었는지, 무엇이 다른지, 그리고 중동 각국의 종파 분포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1. 분열의 시작: 무함마드 사후의 후계자 논쟁이슬람 종파의 분열은 예언자 무함마드가 632년 세상을 떠난 후, 누가 이슬람 공동체의 지도자가 되어야 하느냐를 두고 시작됩니다. 수니파(Sunni): “지도자는 선출되어야 한다”는 입장 → 무함마드의 친구이자 .. 2025. 6. 24.
🎯 “루비콘강을 건넜다” – 결단의 순간이 남긴 역사적 표현 우리는 중요한 결정을 내린 뒤 되돌릴 수 없는 상황에 대해 **“루비콘강을 건넜다”**는 말을 사용하곤 합니다. 이 표현은 단순한 비유가 아닌, 실제 역사적 사건에서 유래한 강력한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표현이 어디서 왔는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그리고 지금 우리 삶에 어떤 메시지를 주는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루비콘강(Rubicon River)은 어디인가? 루비콘강은 현재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한 작은 강으로, 고대 로마 시대에는 이탈리아 본토와 갈리아 지방을 구분하는 경계선 역할을 했습니다. 당시 로마법에 따르면, 무장한 장군이나 군대가 이 강을 넘어 로마 본토로 들어오는 것은 중대한 반역 행위로 간주되었습니다. 즉, 루비콘강은 단순한 지리적 경계를 넘어서, 로마의 법질서와 공화.. 2025. 6. 19.
📣 “호헌철폐, 독재타도!” – 1987년 민주항쟁과 ‘호헌’이라는 말의 의미 1987년 6월, 전국 곳곳에서 울려 퍼졌던 한 구호가 있습니다.바로 “호헌 철폐, 독재 타도!”입니다.그 당시에 살지 않았던 세대는 이 구호가 다소 낯설 수 있지만,당시 시민들과 학생들에게 이 구호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향한 분노의 외침이자 역사의 분기점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호헌(護憲)’**이라는 말은 무슨 뜻이고,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호헌 철폐’를 외쳤던 걸까요? 오늘은 그 배경을 하나하나 짚어보며,1987년 대한민국의 뜨거웠던 그 여름을 돌아보려 합니다. 🈷️ 1. ’호헌(護憲)’이란 말의 한자 풀이 ‘호헌’은 두 글자 모두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護(호): 보호하다, 지키다憲(헌): 헌법 즉, **호헌(護憲)**은 **“헌법을 지킨다”**는 뜻입니다. 언뜻 보면 아주 긍정적.. 2025. 6.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