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잡학 상식

🎬 디제시스(DIEGESIS)란? 어원, 개념, 영화와 문학 속 활용까지 한눈에

잡학&단어 2025. 7. 30. 07:45
반응형

우리 일상에서는 생소하지만 영화 이론이나 문예비평, 이야기 구조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단어, “디제시스(DIEGESIS)”.

이 단어는 단순히 어떤 이야기 속 세계를 설명하는 개념을 넘어서, 내러티브 구조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야기를 분석하는 틀을 제공해줍니다.

 

오늘은 이 용어의 어원과 역사, 그리고 현대 예술·미디어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디제시스의 어원: 고대 그리스에서 온 이야기 방식

 

**“디제시스(DIEGESIS)”**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διήγησις (diēgēsis)”**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단어는 **‘서술하다’, ‘이야기를 전개하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최초로 이 개념을 철학적으로 설명한 사람은 바로 플라톤입니다.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시인들의 창작 방식을 설명하며 두 가지 유형을 구분했습니다:

 

  1. 미메시스 (Mimesis, 모방): 이야기 속 등장인물이 직접 말하고 행동함으로써 독자나 관객이 그 인물의 입장에서 경험하게 만드는 방식
  2. 디제시스 (Diegesis, 서술): 이야기꾼이 제3자의 관점으로 사건을 설명하거나 서술하는 방식

 

예를 들어 고대 서사시에서 시인이 “그는 창을 들어 적을 찔렀다”고 말하면, 이는 디제시스 방식입니다. 반면 등장인물이 “내가 그를 찔렀다”고 말하면 미메시스에 가깝습니다.

 

디제시스는 서사 또는 이야기의 내부 세계를 의미합니다. 즉, 이야기 속에서 말을 통해 전달되는 모든 것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 서술자나 인물이 직접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사건을 설명하는 방식을 디제시스라고 합니다. 독자나 관객은 서술자의 설명을 통해 이야기의 내용을 파악하게 됩니다.

 

 

반대 개념으로는 **미메시스(Mimesis)**가 있는데, 이는 이야기를 모방하여 보여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직접 연기나 행동을 통해 사건을 재현하는 방식입니다. (예: 연극에서 배우가 직접 연기하는 장면, 영화에서 직접 벌어지는 액션 장면)

따라서 디제시스는 "서술(telling)"의 영역, 미메시스는 "보여주기(showing)"의 영역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2.  영화 이론에서의 디제시스: 이야기 속 ‘세계’와 ‘외부’

 

20세기 중반부터 영화학자들과 서사 이론가들은 이 개념을 확장하여 영화나 소설 속에서 ‘디제시스 세계’라는 개념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 디제시스 세계(diegetic world)란?

 

영화나 소설 속 등장인물들이 공유하는 가상의 세계를 말합니다. 등장인물들이 인지하고 있는 시간, 공간, 배경, 규칙 등이 포함됩니다.

 

🎵 예시: 영화 속 음악

  • 디제시스 음악(diegetic sound): 등장인물들도 실제로 듣고 있는 음악

              → 예: 등장인물이 라디오를 켜서 음악을 듣는 장면

 

  • 논디제시스 음악(non-diegetic sound): 관객만 듣는 배경 음악

              → 예: 감정을 고조시키는 장면에서 깔리는 오케스트라 사운드

 

이 구분을 통해 우리는 감정의 유도 장치, 현실과 상상 속 세계의 경계 등을 분석할 수 있게 됩니다.

 


 

📚 3.  문학에서의 디제시스: 작가의 서술 시점과 서사

 

문학에서 디제시스는 서술자의 위치와 시점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의 설명 방식은 전형적인 디제시스입니다.

 

예시:

 

“그는 천천히 문을 열고, 방 안을 둘러보았다. 아무도 없었다.”

 

이런 문장은 인물이 직접 말하지 않고, 서술자가 전지적 시점으로 사건을 전달하기 때문에 디제시스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4.  현대 예술과 디제시스: 경계 넘나들기

 

최근의 예술 작품은 디제시스와 논디제시스를 의도적으로 섞거나 깨뜨리며 형식 실험을 하기도 합니다.

 

🎬 영화 「데드풀」:

  • 주인공이 관객에게 직접 말을 건다 → 디제시스를 넘나드는 메타 내러티브

 

🎮 게임에서도:

  • RPG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캐릭터를 조종하며 디제시스 세계에 ‘참여’
  • 하지만 UI(체력 바, 맵 등)는 논디제시스 요소

 

이처럼 현대 콘텐츠는 디제시스와 논디제시스를 넘나들며 관객과 플레이어의 몰입과 인식을 조작합니다.

 


 

🕰️ 5. 디제시스 개념의 역사적 흐름 요약

시대 설명 방식 디제시스의 개념
고대 그리스 서술 vs 모방 (플라톤) 이야기 전달 방식
중세~근대 소설의 서술자 개념 등장 이야기 전달자의 위치 강조
현대 영화 이론 디제시스 세계 개념 정립 등장인물이 인지하는 세계
포스트모던 서술 구조 해체, 메타 내러티브 디제시스 경계 혼란 유도

 

 

🧠 마무리: 왜 디제시스를 이해해야 할까?

 

‘디제시스’라는 개념은 단순한 영화 이론 용어가 아닙니다. 이야기를 어떻게 구성하고 전달하느냐에 따라 독자나 관객의 몰입도와 감정,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이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좋은 이야기와 연출의 차이, 또는 몰입과 거리감의 이유를 비평적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