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잡학 상식

🇰🇷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정리: 연임 포함, 재임기간과 소속정당 기준

잡학&단어 2025. 7. 14. 19:33
반응형

대한민국 대통령은 단임제 원칙이 있지만, 일부 예외적 상황(박정희 전 대통령의 장기 집권 등)으로 인해 연임 또는 장기 재임 사례도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한민국 1대 대통령부터 현재까지, 연임 여부와 함께 재임기간, 소속정당 임기별로 나누어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대통령별 임기 단위 정리표

대수 대통령 임기 순번 재임기간 소속 정당
1대 이승만 1차 1948.07.24 – 1952.08.14 무소속 → 자유당
2대 이승만 2차 1952.08.15 – 1956.08.14 자유당
3대 이승만 3차 1956.08.15 – 1960.04.26 자유당
4대 윤보선 1차 1960.08.13 – 1962.03.24 민주당
5대 박정희 1차 1963.12.17 – 1967.06.30 민주공화당
6대 박정희 2차 1967.07.01 – 1971.06.30 민주공화당
7대 박정희 3차 1971.07.01 – 1972.12.26 민주공화당
8대 박정희 유신 1972.12.27 – 1978.12.26 민주공화당
9대 박정희 종신 1978.12.27 – 1979.10.26 민주공화당
10대 최규하 1차 1979.12.06 – 1980.08.16 무소속
11대 전두환 1차 1980.09.01 – 1981.02.24 무소속
12대 전두환 2차 1981.02.25 – 1988.02.24 민주정의당
13대 노태우 - 1988.02.25 – 1993.02.24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14대 김영삼 - 1993.02.25 – 1998.02.24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15대 김대중 - 1998.02.25 – 2003.02.24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16대 노무현 - 2003.02.25 – 2008.02.24 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
17대 이명박 - 2008.02.25 – 2013.02.24 한나라당 → 새누리당
18대 박근혜 - 2013.02.25 – 2017.03.10 새누리당
19대 문재인 - 2017.05.10 – 2022.05.09 더불어민주당
20대 윤석열 - 2022.05.10 – 2025.04.04 국민의힘
21대 이재명 - 2025.06.04 – 현재 더불어민주당

📌 주의할 점 및 역사적 의미

  • 이승만 대통령은 헌법 개정으로 3선, 4선까지 진행했으며 1960년 4.19 혁명으로 하야.
  • 박정희 대통령은 유신 헌법으로 종신 집권 체제를 시도했으며 1979년 피살됨.
  • 전두환은 군사 쿠데타 후 간접 선출로 취임. 헌법 개정 후 재선.
  • **직선제 개헌 이후(1987년 이후)**는 모두 단임제 원칙을 따름.

🧾 마무리

대한민국의 대통령직은 각 시대의 역사적 상황과 국민의 선택을 반영합니다. 특히 연임 여부와 정당 변화는 정치 체제 변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헌법 개정, 쿠데타, 선거 방식 변화 등과 맞물려 대한민국 정치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 정리를 바탕으로 한국 정치의 궤적을 되짚어보고, 앞으로의 리더십에 대해서도 성찰해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